늙어가는 韓 제조업, 고령화 속도 美·日보다 가팔라 [체크리포트]
최근 10년간 한국 제조업 인력의 고령화 속도가 주요 제조 강국인 미국이나 일본보다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 인력 비중은 2배가량 늘어난 반면 청·장년층 근로자 비중은 감소해 제조업의 성장잠재력이 급격하게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지난 10년간(2010~2020년) 제조업 근로자의 고령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50대 이상 제조업 근로자 비중이 2010년 15.7%에서 2020년 30.1%로 14.4%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30대 비중은 35.1%에서 27.8%로 7.3%포인트 감소했다. 이어 청년층(15~29세) 비중은 21.6%에서 15.2%로 6.4%포인트 줄었으며, 40대 비중은 27.7%에서 26.9%로 0.8%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 제조업 강국과 비교하면 한국의 제조업 고령화 속도는 훨씬 가파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2011년 39.2세에서 2020년 42.5세로 3.3세 올랐다. 그 사이 일본은 41.6세에서 42.8세로 1.2세 증가했고, 미국은 44.1세에서 44.4세로 0.3세 오른 것에 그쳤다.
한경연은 제조업 고령화가 저출산에 따른 인구 고령화로부터 비롯된 부분도 있지만 엄격한 노동 규제로 기존 정규직이 과보호돼 청·장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이 어려워진 탓도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제조업 일자리는 2010~2015년 사이 59.7만명 늘었지만, 2015~2020년 내에는 7.1만명 증가하는데 그쳐 최근 5년간 제조업 고용이 크게 위축되었음을 보여준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민간의 고용부담을 낮추며 교육·훈련 강화로 노동의 질적 향상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수빈 인턴기자 im.subin@joongang.co.kr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지난 10년간(2010~2020년) 제조업 근로자의 고령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50대 이상 제조업 근로자 비중이 2010년 15.7%에서 2020년 30.1%로 14.4%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30대 비중은 35.1%에서 27.8%로 7.3%포인트 감소했다. 이어 청년층(15~29세) 비중은 21.6%에서 15.2%로 6.4%포인트 줄었으며, 40대 비중은 27.7%에서 26.9%로 0.8%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 제조업 강국과 비교하면 한국의 제조업 고령화 속도는 훨씬 가파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2011년 39.2세에서 2020년 42.5세로 3.3세 올랐다. 그 사이 일본은 41.6세에서 42.8세로 1.2세 증가했고, 미국은 44.1세에서 44.4세로 0.3세 오른 것에 그쳤다.
한경연은 제조업 고령화가 저출산에 따른 인구 고령화로부터 비롯된 부분도 있지만 엄격한 노동 규제로 기존 정규직이 과보호돼 청·장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이 어려워진 탓도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제조업 일자리는 2010~2015년 사이 59.7만명 늘었지만, 2015~2020년 내에는 7.1만명 증가하는데 그쳐 최근 5년간 제조업 고용이 크게 위축되었음을 보여준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민간의 고용부담을 낮추며 교육·훈련 강화로 노동의 질적 향상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수빈 인턴기자 im.subin@joongang.co.kr
ⓒ 이코노미스트. All rights reserved.
많이 본 뉴스
1유마인코리아의 유마인K, 2024 글로벌 인플루언서 엑스포 부스 입점
2WE하다-코틱스 코퍼레이션, 글로벌 인플루언서 엑스포서 장애인 근로 캠페인 협업
3테슬라, 中 주간 판매 최고 기록 경신…매출 지속 성장
4GTX-A노선 ‘운정중앙-서울역’ 구간 28일 개통
5바오연대네트워크, 中대사관 성명서 전달...“푸바오 건강 회복”
6고용률 ‘역대 최대’ 속 건설·제조업 고용 찬 바람
7'트럼프 식 패스트트랙'...미국에 10억달러 이상 투자하면 '완전 신속' 허가
8 경찰, 대통령실 압수수색 종료…경호처 저지에 진입 실패
9최태원 차녀 최민정, 美 보험사 대표 총격에 “의료 체계 변화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