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오피니언

오피니언

비롯할 '創'·지을 '作'…새로움을 일상으로 [C-스위트]

유통

CXO(Chief X Officer). 기업의 최고경영자인 CEO를 비롯해 CMO(마케팅), CTO(기술), CFO(재무), COO(운영) 등 각 기업의 분야별 최고책임자를 아울러 일컫는 말입니다. C레벨은 성공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이코노미스트'는 실력과 역량을 인정받아 C레벨의 자리에 오른 이들과 최고의 자리에 오르기 위해 노력하는 예비 리더들과 함께합니다. 'C-스위트(SUITE)'는 'CXO의 방'이라는 부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CXO가 머무는 공간을 글과 사진으로 보여주는 콘텐츠입니다. 기업을 이끄는 리더의 비전과 전략이 탄생하는 공간, ‘C-스위트’에서 새로운 영감을 얻고 성공의 꿈을 키워나가시길 바랍니다. '창작(創作)' 비롯할 창, 지을 작. 새로운 아이디어나 개념을 기반으로 창조적으로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것을 뜻한다. 공간만큼 개인적인 취향을 여실히 드러내는 게 있을까. 특히 감각적인 트렌드를 주도하고 매혹적인 광고를 만드는 데 일가견 있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말이다. 광고 일을 하다 자신만의 일을 하기 위해 반려동물 사업에 뛰어든 황보현 퍼펫(PERPET) 대표 사무실에 들어서면 이 명제에 대한 믿음이 더 확고해진다. 서울 북촌 계동길에 위치한 그의 사무실은 외국인을 위한 한옥 게스트하우스에서 오직 반려동물을 위한 다양한 실험이 이뤄지는 공간으로 변모했다. 각종 책과 자료가 놓인 테이블 세 개와 집무를 보는 책상에 컴퓨터, 그 뒤에 위치한 그림 작품 두 점과 화이트보드가 전부인 이 공간은 황 대표의 취향을 그대로 보여준다. ‘개고생, 개고生, 개.고.생, 개苦生’ 화이트보드에 쓰인 이 문구들에서도 그만의 창작성을 엿볼 수 있다. 반려동물 관련 일을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떠오른 문구다. '견'(犬)을 칭하는 ‘개’와 살아있음을 의미하는 ‘생’, 병으로 인한 괴로움 ‘고생’. 날것으로 재해석된 이 세 단어엔 많은 뜻이 내포돼 있다고 했다. 화이트보드에 적힌 글자들처럼 황 대표는 작업이나 회의하다 중간중간 아이디어가 떠오르거나 마음에 드는 문구가 생각나면 어디에나 바로 적는다. 창작과 씨름하면서 굳어진 습관이다. 사무실 내부도 날 것 그대로의 모습이 곳곳에 녹아있다. 한옥의 서까래를 고스란히 살려낸 천장은 전통미가 돋보인다. 황 대표는 “사무실 방마다 벽을 트고 천장을 철거해 서까래를 드러나게 했다”며 “집무실 역시 격자무늬 유리문을 철거하려 했으나 한옥이 오래돼 기울었는지 유리문을 누르고 있는 구조라 빼지 못하고 그냥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무실을 나가면 'ㄷ자형' 가옥 중심에 마당이 위치한다. 마당에는 널찍한 소파와 큰 테이블, 옛날식 난로와 커피머신 등이 구비돼 있다. 그는 마당을 직원들과 스스럼없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낮에는 회의를 위한 사무공간이지만 저녁에는 외부인을 초청해 식사나 미팅을 하는 등 상황에 맞게 자유롭게 쓰인다”고 설명했다. 마당에 깔린 돌 사이로는 잡초가 듬성듬성 고개를 내밀고 있다. 한겨울인데도 마당을 유리로 덮어 온실효과를 보기 때문이라고 한다. 황 대표에게도 이곳이 그렇다. 딱딱하고 적막한 사무 공간이 아니라 전통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니 사업에 대한 창의적인 생각과 아이디어가 더 샘솟는다고 했다. 잡초도 생명력을 유지하는 이 공간에서 황 대표의 창작물도 새롭게 싹을 틔울 채비를 마쳤다. 황보현 대표는_서강대 전자공학과를 중퇴하고 연세대 신문방송학 학사를 취득했다. 1988년 코래드 PD로 광고계에 입문해 1996년 LG그룹 계열 종합광고회사인 LG애드(현 HS애드) 부장으로 입사, HS애드에서 최고창의력책임자(Chief Creative Officer) 상무를 지냈다. 대표적인 광고로는 대한항공 취항지 캠페인, 신세계그룹 통합 온라인몰 '쓱닷컴', 배달의민족 등이 있다. 2019년부터 인공지능(AI) 회사인 솔트룩스로 자리를 옮겨 CCO 부사장을 역임했다. 2021년 10월부터는 반려동물용 1:1 맞춤영양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 퍼펫을 창업해 대표이사직을 맡고 있다.

2023.02.26 23:59

3분 소요
빌 '空'·사이 '間'…이제는 채워야 할 때[C-스위트]

CEO

CXO(Chief X Officer). 기업의 최고경영자인 CEO를 비롯해 CMO(마케팅), CTO(기술), CFO(재무), COO(운영) 등 각 기업의 분야별 최고책임자를 아울러 일컫는 말입니다. C레벨은 성공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이코노미스트'는 실력과 역량을 인정받아 C레벨의 자리에 오른 이들과 최고의 자리에 오르기 위해 노력하는 예비 리더들과 함께합니다. 'C-스위트(SUITE)'는 'CXO의 방'이라는 부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CXO가 머무는 공간을 글과 사진으로 보여주는 콘텐츠입니다. 기업을 이끄는 리더의 비전과 전략이 탄생하는 공간, ‘C-스위트’에서 새로운 영감을 얻고 성공의 꿈을 키워나가시길 바랍니다. 뭔가를 채우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있다. ‘비우는 것’이다. “방을 새롭게 단장하는 중이라서 짐도 다 들어오지 않았다. 그래서 많이 비어 있다”라며 웃는 염재호 SK 이사회 의장. 그의 말처럼 새롭게 마련한 의장 사무실은 상당 부분 비어 있었다. 그의 사무실이 있는 SK서린빌딩 26층은 한국 재계의 관심을 받는 이사회의 실험이 이뤄지는 층으로 변모했다. 염 의장을 비롯해 사외이사 5명의 사무실이 각각 마련됐기 때문이다. “국내 기업이 사외이사 사무실까지 마련한 경우는 SK가 처음인 것 같다”고 그는 자랑했다. 염 의장의 사무실은 책장과 옷장, 큰 회의 테이블과 집무를 보는 책상에 컴퓨터가 전부인데, 역설적이게도 오히려 빈 곳이 많아 더 있어 보였다. 넓은 창을 통해 서울 시내가 한눈에 들어온다. 저 멀리 남산타워가 또렷하게 보일 정도로 26층에서 내다보는 경치가 멋들어진다. 그의 사무실은 비어있지만, 오히려 다양한 것들로 채워진 느낌이었다. 이런 착각은 SK 이사회의 활동 덕분이다. 최태원 SK 회장이 겸하고 있던 이사회 의장 자리를 2019년 3월 그에게 넘겨준 후 다양한 실험들이 이어졌다. 이사회의 산하 조직인 인사위원회는 최고경영자(CEO) 인사평가와 연봉을 결정하고 사내이사의 보수액도 심의한다. CEO의 핵심성과지표를 정하고 해임이나 대표 추천안까지 상정하는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지난해 도입한 이사회 역량 측정 지표는 SK그룹의 주요 계열사로 확대되고 있다. 이사회에 올라온 안건 중에서 이사회를 설득하지 못하는 경우 반려되는 경우도 있다. 그동안 ‘이사회는 거수기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있었지만, SK 이사회는 막강한(?) 힘을 가지고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의 빈 사무실은 이미 이사회의 새로운 실험과 프로젝트라는 다양한 볼거리로 가득 차 있었던 것이다. 그는 “시즌1을 잘 마무리했으니 앞으로 3년 동안 더 활기찬 시즌2 이사회 활동을 보여줄 것”이라며 자신 있게 웃어 보였다. 비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미 많은 것으로 채워져 있는 사무실. 염재호 의장 사무실에서 발견한 '공간의 미학'이다.염재호 의장은_고려대 행정학 학사 취득 후 미국 스탠퍼드대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다. 1990년부터 30년 동안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로 지냈고, 외교부 정책자문위원장(2010~2018년), 기획대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단장(2014~2015년) 등을 역임했다. 2015년부터 4년 동안 제19대 고려대 총장을 지냈고, 2019년 3월부터 SK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2023.02.20 00:20

2분 소요
이정권 漫評

만평

2023.02.05 07:56

0분 소요
이정권 漫評

만평

2023.01.30 09:19

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