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글로벌

글로벌

쇼핑몰에서도 살 수 있는 中 전기차, 이젠 한국 ‘정조준’ [특파원리포트]

국제 이슈

이데일리 미국과 중국 특파원이 현지에서 보고 느낀 생생한 경제·산업 분야의 이야기를 격주로 연재한다.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대형 쇼핑몰을 가면 내부에 자리 잡은 전기차 매장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로 올라선 비야디(BYD)나 미국의 테슬라뿐 아니라 리오토, 엑스펑 등 다양한 브랜드의 전기차 매장들이 자리를 잡았다. 쇼핑몰을 지나다 보면 장바구니를 들고 전기차를 둘러보거나 직접 타보는 중국인들이 적지 않다. 마치 물건을 쇼핑하듯 전기차를 편하게 볼 수 있는 것이다.중국은 이제 ‘전기차의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기 침체 국면에서도 정부 차원의 정책에 힘입어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 바꾸려는 수요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는 처음으로 전기차 판매 비중이 내연기관차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전기차 사면 200만원” 정책 지원 효과 톡톡중국 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중국 내 자동차 판매량은 331만6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다. 이중 전기차 판매량은 47.4%나 증가한 151만2000대를 기록했다. 전기차 한 달 판매량이 150만대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의 전기차 판매 비중은 지난해 7월부터 4개월 연속 50%를 넘고 있다. 새로 자동차를 구입하는 사람 절반 이상은 전기차를 선택하고 있다는 말이다. 올해는 사상 처음으로 전기차 판매 비중이 내연기관차를 넘을 전망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가 투자은행 등의 최신 데이터를 토대로 추산한 결과 중국의 올해 전기차 판매량은 1200만대를 넘어 내연기관차 판매량(1100만대)을 추월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단체인 중국전기차100인회(100인회)도 최근 올해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은 약 1650만대(수출 포함)로 전년 대비 30%가량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올해 중국 내수 시장에서 전기차의 판매 비중은 55%를 초과해 연간 기준으로 처음 50%를 넘을 것으로 봤다.중국에서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정책 지원의 영향이 크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4월 자동차와 가전 등 소비재에 대한 이구환신(헌 제품을 새것으로 교환) 방침을 발표했다. 지난해 7월부터는 보상판매 방식으로 전기차를 구매할 때 주는 보조금을 기존 1만위안(약 198만원)에서 최대 2만위안(약 397만원)으로 확대했다.올해도 전기차 전환 시 보조금을 주는 정책은 계속할 예정이다. 최근 중국 정부 발표를 보면 기존 승용차를 보유한 사람이 전기차를 구매하면 최대 1만5000위안(약 297만원), 내연기관차 구매 시 최대 1만3000위안(약 257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전기차에 인센티브를 더 주면서 자연스럽게 전기차 전환을 유도하는 것이다.중국에서 전기차를 판매하는 업체들도 할인 경쟁을 펼치고 있다. BYD‧지리‧샤오펑‧광치아이안 등은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 무이자 할부‧현금 지급‧보험 보조금을 제공하고 화웨이의 최신 트리폴드(두 번 접는 폴더블폰) 스마트폰을 사은품으로 주기도 한다. 중국 내 수입 전기차들도 할인을 통해 소비자 잡기에 나선다. 테슬라는 이달 말까지 5년 무이자 금융 혜택과 함께 차량 교체 시 국가 보조금 등을 합해 최소 5만위안(약 991만원)을 절약할 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다. 메르세데스-벤츠도 중국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스포츠유틸리치차량(SUV)인 EQA 구매 시 기존 국가 보조금 외 특정 모델은 추가로 1만위안의 현금 보조금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팔아도 남는 게 없다”…성장 이면 부작용도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할인 경쟁이 마냥 긍정적인 효과만 내는 것은 아니다. 실상을 살펴보면 중국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 이면에는 공급 과잉이 초래한 저가 경쟁과 이에 따른 업체들의 손실 확대라는 부작용도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는 베이징자동차(BAIC), 상하이자동차(SACI) 같은 기존 자동차 업체는 물론 BYD, 화웨이 등 대기업들이 전기차를 적극적으로 팔고 있다. 다만 화웨이는 직접 자동차를 판매하지 않고 제조업체들과 협업 방식으로 만들어 출시한다. 여기에 리오토·엑스펑·니오 같은 전기차 1세대 업체들이 있고 수많은 신생 업체들이 전기차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지난해에는 가전 브랜드인 샤오미가 처음으로 전기차 SU7(수치)를 출시하기도 했다. 중국 내수 시장이 크다고는 하지만 수많은 업체들이 참여한 전기차 시장은 공급 과잉에 시달리고 있다. 내수 시장의 수요는 한정적인데 공급이 늘어나니 할인 경쟁이 치열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전기차 판매량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지난해 11월 세부 결과를 보면 업체들은 뚜렷한 양극화를 겪고 있다. 전기차 신생업체 중에서도 규모가 큰 리오토, 니오의 경우 각각 약 4만8700대, 2만1000대를 판매했고 신생 전기차 업체지만 인지도가 높은 샤오미도 2만3000여대를 팔았다. 반면 신생업체인 지시(650대), 촹웨이(582개), 지싱(110대)들은 한달에 1000대를 팔지도 못했다. 지시의 경우 지난해 1~11월 누적 판매량이 4127대로 웬만한 대형 업체 한달 판매량에도 못 미쳤다. 재무를 살펴보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신생 전기차 업체 중 사실상 성과를 내는 곳은 리오토가 유일하다. 리오토는 지난해 3분기 28억위안(약 5549억원)의 수익을 거뒀고 1065억위안(약 21조원)의 현금을 보유해 리스크 대응력도 갖췄다. 반면 니오의 경우 지난해 전기차 19만여대를 판매했음에도 3분기에만 50억6000만위안(약 1조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엑스펑, 샤오미도 3분기 손실이 각각 18억1000만위안(약 3586억원), 15억위안(약 2972억원)이다. 손실이 확대되면서 쌓아둔 현금도 계속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공급 과잉에 시달리고 있는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선택은 해외 수출이다. 이미 중국은 유럽연합(EU)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갖추고 있지만 관세 인상의 여파로 진출 지역을 다변화하고 있다. 한국도 중국 전기차 공습에서 예외는 아니다. BYD는 이달 16일 한국에서 브랜드 론칭 행사를 열고 국내 시장 진출을 공식화할 예정이다. 지금도 한국에서 트럭 등 상용차를 팔고 있는데 이번에는 중형 세단(씰), 준중형 SUV(아토3), 소형 해치백(돌핀) 등 승용차 모델을 통해 본격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중국 자동차기업인 지리그룹의 전기차 브랜드 지커도 한국 진출을 검토하고 있다. 이미 한국에서 상표권 등록을 마쳤고 하반기 전시장을 열 것으로 알려졌다. 지커는 세단‧SUV‧다목적차량(MPV) 등 다양한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에서 중국 전기차 인지도가 높지는 않지만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싼값에 물량을 쏟아내면 안도만 할 수는 없다는 시각이다. 미국이나 유럽연합(EU)처럼 당장 관세를 인상하는 방법이 아니더라도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저가 공세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국 전기차 산업 지원, 보조금 정책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전했다.

2025.01.12 09:00

5분 소요
중국 국가통계국, 12월 소비자물가 전년 대비 0.1% 상승

차이나 포커스

2024년 12월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대비 0.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중앙방송총국(CMG)에 따르면 도시 지역의 물가는 0.1% 상승했으며 농촌 지역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항목별로는 식품 가격이 0.5% 하락한 반면 비식품 가격은 0.2% 상승했다. 또한 소비재 가격은 0.2% 하락했으나 서비스 가격은 0.5% 상승했다.12월의 소비자물가는 전달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도시 지역의 물가는 큰 변동이 없었지만, 농촌 지역은 0.1% 하락했다. 식품 가격은 전달 대비 0.6% 하락한 데 비해 비식품 가격은 0.1% 상승했다. 소비재와 서비스 가격은 각각 0.1% 하락과 0.1% 상승을 기록하며 대체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2024년 전체로 보면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0.2%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둥리쥐안(董莉娟) 국가통계국 도시국 수석통계사는 "12월 CPI가 전달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며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2025.01.10 10:46

1분 소요
중국, '항공 굴기' 본격화… C919, 본토 벗어나 정기 운항 시작

차이나 포커스

중국의 항공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중형 여객기 C919가 해외 정기 노선 운항을 시작하면서 중국의 항공기 제조 기술력이 주목받고 있다. 동시에 대형 항공기 개발에도 속도를 내며 글로벌 항공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는 모습이다.2025년 1월 1일, 중국 동방항공의 중형 여객기 C919가 상하이 홍차오 공항에서 홍콩 국제공항으로 향하는 첫 상업 정기편 운항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중국 동방항공은 이날 상하이~홍콩 노선에 C919를 투입하며 지역 노선 상업 운항을 본격화했다.C919는 중국 상용비행기유한책임공사(코맥)가 2006년 개발을 시작해 2023년 첫 상업 비행에 성공한 중형 항공기다. 이 항공기는 158~168석 규모로, 보잉 737과 에어버스 320에 견줄 만한 크기를 자랑한다. 항속 거리는 4075~5555km로 주로 중국 내 주요 노선에 투입되어 왔다.이번 상하이~홍콩 노선은 C919가 중국 본토를 넘어 해외 지역에서 정기 운항을 시작한 첫 사례다. 동방항공은 C919 항공기를 가장 많이 보유한 항공사로 2024년 말까지 10대를 추가로 인도받아 운항을 확대하고 있다. 현재까지 C919는 동방항공 외에도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과 중국남방항공 등 국영 항공사들에 총 16대가 인도됐다.중국의 주요 항공사들은 C919를 활용해 점차 운항 노선을 늘리고 있다. 남방항공은 광저우, 상하이, 항저우, 청두, 하이커우 등 주요 도시를 잇는 노선에 C919를 투입하고 있으며 국제항공은 베이징에서 상하이, 항저우, 청두, 우한으로 향하는 네 개 노선에서 C919를 운영 중이다.중국 항공사들의 움직임이 글로벌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중국의 '항공 굴기'가 앞으로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2025.01.03 11:02

2분 소요
연결된 세계, 함께 만드는 미래: 스마트 물류가 바꾸는 일상

차이나 포커스

평범한 어느 날, 한 소녀가 애타게 기다리던 택배를 손에 쥐었다. 그러나 이 택배는 단순히 물건을 배송받는 데 그치지 않는다. 최첨단 기술이 결합된 스마트 물류 시스템이 만들어낸 혁신의 결정체였다.2024년 11월 17일 기준, 중국의 택배 업무량은 누적 1500억 건을 넘어섰다. 하루 평균 7억 2900만 건이라는 경이로운 처리량은 새로운 역사를 쓰며, 고객에게 빠르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의 성과를 입증했다.스마트 물류는 단순히 효율성을 높이는 데 그치지 않는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물류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끌며 경제 성장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특히 택배와 물류는 공급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이를 통해 세계 경제의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듯, 올해로 두 번째를 맞이한 국제 공급망 촉진 박람회는 공급망 관리와 물류 산업의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주요 행사로 자리 잡았다. 이 박람회는 산업 발전뿐 아니라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는 플랫폼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2024.12.05 10:59

1분 소요
中, 유인우주선 ‘선저우 18호' 발사 성공

차이나 포커스

지난 25일 중국이 유인우주선 ‘선저우(神舟) 18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중국유인우주비행공정 사무실은 이날 오후 8시 59분(현지시각) 중국 간쑤(甘肃)성 주취안(酒泉) 위성 발사 센터에서 '창정(長征)-2F 야오(遙)' 18 운반 로켓을 통해 선저우 18호 유인우주선을 성공적으로 발사했으며, 약 10분 후 우주선은 로켓으로부터 성공적으로 분리되어 예정된 궤도에 안착했다고 밝혔다.선저우 18호는 궤도 진입 후 중국이 2022년 독자적으로 건설을 완료한 우주정거장 '톈궁'과 도킹 될 예정이며, 우주팀은 미세 중력 기초 물리학, 우주 재료 과학, 우주 생명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험을 수행할 예정이다.이번 발사는 중국 우주정거장 완공 후 세 번째 유인 우주 비행 프로젝트이며, 창정 시리즈 운반 로켓의 518번째 비행으로 기록된다. 자료 제공=CMG

2024.04.26 10:28

1분 소요
中, 1분기 경제성장률 5.3%… 예상치 상회

차이나 포커스

올해 1분기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하며 강한 경제 회복 신호를 보냈다고 중국 국가통계국이 밝혔다.지난 16일 성라이윈(盛來運) 중국 국가통계국 부국장은 국무원 신문판공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국 경제는 연초부터 긍정적인 요인이 누적되면서 연간 목표 달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고 전했다.중국의 1분기 GDP는 총 29조 6299억 위안(약 5524조 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전 분기 대비 1.6% 증가했다. 성 부국장은 "국가 경제 전반의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주요 생산과 수요 지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이어 성 부국장은 "경제의 안정성과 조정 능력이 향상되고 시장의 활력이 증가했다"며 "3월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0.8%를 기록하며 호조 구간에 진입했다"고 강조했다.부가가치 산업에서는 제조업이 전년 동기 대비 6.1% 성장했으며, 서비스 산업도 5.0% 증가했다. 소비재 소매 총액은 12조 327억 위안(약 2298조 2457억원)으로 4.7% 증가했고, 소비자 물가는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특히, 1분기 동안 중국 상품 수출입 총액은 10조 1,693억 위안(약 1896조 9642억원)으로 5.0% 증가, 수출은 5조 7378억 위안(약 1069조 7553억원)으로 4.9% 늘었고, 수입은 44조 315억 위안(약 8262조 809억원)으로 5.0% 증가했다.성 부국장은 "1분기의 무역 성과가 지속적인 경제 회복을 뒷받침하고 있다"며, "세계 상품 교역량이 2.6%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중국의 경제 전망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자료 제공=CMG

2024.04.19 15:52

2분 소요
제4회 중국국제소비재박람회, 역대 최대 규모 예상

차이나 포커스

제4회 중국국제소비재박람회(CICPE)가 2024년 4월 13일부터 18일까지 중국 하이난(海南) 성 하이커우(海口) 시에서 개최된다. ​이번 소비자 박람회 회의장은 재활용 가능한 자재로 만들어져 친환경적이다. 전시회장과 시설에 친환경 전력이 100% 공급되어 시설 건설 및 운영 전 과정에서 친환경 운영 및 탄소 배출 제로 개념을 구현한다.​CICPE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최대 규모의 소비재 전시회다. 이번 CICPE에는 59개 국가 및 지역에서 3000개 이상의 브랜드가 참가하며 전시 면적은 12만 8000제곱미터로 역대 최대이다.​자료 제공=CMG

2024.04.15 10:17

1분 소요
시진핑, 마잉주 전 대만 총통과 회동…대만 지진에 위로 뜻 전해

차이나 포커스

지난 1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 전 대만 총통이 중국 베이징에서 만났다. 둘의 만남은 2015년 이후 두 번째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양안 동포는 모두 중화민족이고, 그간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역사를 써왔다”라며 “양안 동포끼리 서로 풀지 앙금이 없고, 의논하지 못할 문제가 없으며, 갈라놓을 수 있는 세력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양안 동포들은 공동의 문화와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더 중요한 것은 민족에 대한 공동의 책임과 미래에 대한 염원이 있다”면서 “중화민족 공동체 의식을 확고히 다져, 중화민족의 부흥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또 “양안 청년층은 나라의 희망이자 민족의 미래”라고 강조하며 “양안 청년들의 관계가 좋아야 양안의 장래도 밝아질 것”이라고 언급했다.시 주석은 최근 강진을 겪은 대만 동포들을 위로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 3일 화롄(花蓮)현 해역에서 규모 7.3의 지진이 발생해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면서 “피해 동포들에게 애도를 표함과 더불어 이재민들에겐 위로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마잉주 전 대만 총통은 “92공식을 고수하고 대만 독립을 반대하는 것은 양안 관계의 평화적 발전을 위한 공동의 정치적 기반”이라고 말하며 “교류와 협력을 심화하여 중화 문화를 공동으로 전승하고 함께 발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료 제공=CMG

2024.04.11 11:17

1분 소요
중국 쓰촨성, ‘저공 경제’ 산업 적극 육성한다

차이나 포커스

최근 민간용 유인·무인 항공기를 활용해 여객과 화물을 수송하는 '저공 경제'가 중국에서 신흥 산업으로 큰 주목을 받는 가운데, 쓰촨(四川)성 쯔궁(自贡)시가 저공 경제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중국 중앙방송총국(CMG)은 “쯔궁시가 현재 도심 항공교통, 드론 택배, 저공 관광, 항공 비행 교육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면서 “드론 등 저공 비행 기구를 응급 구조, 농업 생산, 기상 예보 분야에도 널리 활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2023년 말 기준 중국에 공식적으로 등록된 무인 항공기는 126만 대를 넘어 전년 동기 대비 30% 이상 증가했고, 20만 명이 넘는 인원이 드론 조종사 면허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분석기관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저공 경제 규모는 2023년 5000억 위안(약 92조 원)을 넘어섰고 2030년에는 2조 위안(약 371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자료 제공=CMG

2024.04.05 10:28

1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