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딥시크’ 후폭풍…美, 엔비디아 저사양 칩 중국 수출통제 검토
- 블룸버그, 소식통 인용 보도 “논의 초기 단계”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에 추가 제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통신은 29일(현지시간)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아직 정부 출범 초기인 만큼 논의가 매우 초기 단계라면서도 엔비디아의 수출 통제 범위가 확대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중국 스타트업이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견제 강화를 고려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소식통들은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때도 H20을 수출 통제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이 거론됐지만 현실화하지 않았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이제 막 유관부서의 인원 확충을 시작한 만큼 규제가 나오려면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H20은 미국 정부가 대중국 반도체 수출을 통제하자 엔비디아가 규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저사양으로 출시한 제품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산업·무역 정책을 총괄할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는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반도체에 대해 ‘매우 강력한’ 통제를 하겠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 백악관은 블룸버그의 논평 요청에 입장을 밝히지 않았고, 엔비디아 측은 “AI에 대해 자체적인 접근을 추구하면서 미 행정부와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전했다.
딥시크의 중국 스타트업이 개발한 AI 모델로 챗GPT의 경젱모델로도 거론된다. 저렴한 비용으로 AI 모델을 개발해 이런 방식이 확산하면 엔비디아의 비싼 칩이 불필요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그럴 경우 엔비디아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 27일 16.97% 급락했다. 전날에는 딥시크의 개발 비용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8.93% 반등했했지만, 29일에는 다시 4.10% 하락하는 등 주가는 롤러코스터를 탔다.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은행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뭉쳤다…日 모델 유력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김소은♥수원FC 정동호 1년째 연애 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中, 미국에 먼저 손내밀 생각 없다고 확실히 보여줬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나스닥 상장사 그라비티, 말레이시아 사업 직접 관리한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아이센스, 글로벌 CGM 3위 자신…삼바·셀트급 연매출 3조원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